우선 저의 입시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김포 일반고 졸업
- 2020 중앙대학교 모의논술 전체 19등 / 과 1등
- 2020 중앙대학교 프랑스어문학과 논술전형 최초합
숙명여자대학교 논술전형 예비 5번 - 2021 성균관대학교 글로벌경제학과 논술전형 최초합
- 2022 연세대학교 응용통계학과 논술전형 최초합(현재 재학중)
지난 주말 농구하다가 넘어져서 발목 인대 파열로 깁스를 하게 되어서 필라테스랑 새벽러닝도 못 뛰게 되어서 새벽 온라인 과외를 마치고 3년간의 수험생활과 대치동/목동 논술 학원 조교 경험담 및 개인 과외를 하면서 느낀 점을 끄적여봅니다. 어제 티스토리 계정을 막 만들어서 누가 볼지는 모르겠지만, 누군가에게는 도움이 되길 바라는 마음으로 적어봅니당
제 개인적인 견해를 바탕으로 작성된 글이고, 제 방식이 절대적인 정답도 아니므로 참고만 해주시면 좋을 듯합니다. 중대 모의논술 결과 인증은 핸드폰과 노트북을 몽땅 바꿔서 집에서 찾아봐야 되는데 귀찮기도 하고,, 숙대 예비 5번은 중대 붙고 확인해서 쳐다도 안 봤는데 작년에 과외생이랑 찾아보니까 한 명도 안 빠졌던 걸로 기억합니다.
https://cafe.naver.com/suhui?iframe_url_utf8=%2FArticleRead.nhn%253Fclubid%3D10197921%2526articleid%3D27660641
수만휘-수능날만점시험지를휘날리자★입시... : 네이버 카페
수험생커뮤니티 수만휘-수능, 공부, 입시, 재수, 수시, 정시, 과외, 기출문제, 문제은행, 과외, 편입, 유학
cafe.naver.com
수만휘에 이전에 올린 글에 합격증 사진 올려두었는데 지금 보니까 오글거리네요ㅜ 고등학교 2학년 2학기 때 몸이 아파서 중간고사와 수행평가는 아예 응시하지 못할 정도로 학교를 거의 가지 못해 자퇴를 고려했었습니다! 저 네이버 아이디는 안 쓰는 계정이라 그 뒤로 댓글이나 쪽지 확인은 못했네욤
인문논술은 어떤 시험인가
우선 대입 인문논술은 로또라는 말이 있는데, 저는 인문논술은 확실히 대학에서 요구하는 기준과 답변이 명확하다고 생각합니다.
대학에서는 매년 선행학습영향평가 보고서를 입학처에 게시하는데, 이를 잘 읽어보면 대학별로 요구하는 논술 스타일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게다가 콘텐츠가 무수한 수능 과목과 달리 인문논술은 요약, 설명, 비교, 비판(평가), 대안 제시 유형 등 기본 유형을 익힌 후 각 대학별 기출문제 + 채점기준과 모범답안으로 충분히 공부할 수 있습니다.
저는 수험생 때 패스 끊어서 인강은 듣지 않고 강사분들 대학별 논술 기출 pdf 자료 스타일 비교해서 가장 저한테 맞는 강사분 걸로 공부하였습니다! 모범답안 제공하지 않는 학교도 있어서 확실히 패스가 있으면 일일이 검색 안 해도 대학 연도별 기출문제 + 채점기준 + 모범답안(강사 답안+대학 모범답안)을 편하게 찾아 프린트해서 공부할 수 있었습니다.
인문논술은 어떤 사람이 준비하는가
내신이 애매해서 학종이나 교과 같은 다른 수시 전형을 준비하기 어려운 친구들한테 인문논술은 원하는 대학에 지원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라고 생각합니다.
최근에는 내신 등급을 반영하는 학교들이 줄어들어서 내신 5등급대 이상, 개인적으로 국어 3-4등급 정도의 독해력이면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사회탐구 선택과목은 생활과 윤리 / 사회문화 선택하는 것이 가장 좋은데, 본인이 쌍사나 쌍지를 선택했다 하더라도 논술에서 자주 나오는 사탐 배경지식은 일부분으로 여러 대학에서 반복적으로 출제되니 논술을 위해 굳이 많은 시간을 투자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학원이나 과외에 대해서 + 개인적인 논술 준비 경험담
저는 현역 때는 동네 학원, 반수 때 4개월간 대치동 학원, 삼반수 때는 독학으로 논술 준비를 하였습니다.
학원별로 스타일은 다르지만 제 수험생활과 대치동/목동 논술 학원 조교 경험담을 바탕으로 보면 대형 학원을 가면 보통 2시간 문제 풀이 + 1시간 강사 설명, 이후 조교 첨삭으로 진행됩니다. 저는 굳이 학원이나 과외가 필수는 아니지만, 기본 유형을 잡는 2주-1달 정도는 인강이나 학원 혹은 과외의 도움을 받는 것이 이후 혼자 공부할 때 훨씬 수월하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첨삭을 받고 나서 반드시 문제 푸는데 걸렸던 시간만큼 제시문 독해, 모범답안 및 채점기준 분석 후 필사하는 데 다시 시간을 투자하였습니다.
개인적으로 대입 인문논술을 답안을 얼마나 잘 쓰냐가 우선이 아니라 제시문 독해를 얼마나 잘하느냐의 싸움이라고 생각합니다.
과외를 하다 보면 "제시문이 대충 무슨 말은 하는지는 알겠는데, 답을 어떻게 써야 할지 모르겠다"라는 질문을 정말 많이 듣습니다.
대입 인문논술은 수험생의 견해나 지식을 묻는 것이 아닌 논제에 따른 제시문 독해 및 답안 작성이 이루어지는 시험입니다. 논제에서 요구하는 방향에 맞게 제시문을 독해한 후, 학교별 답안 구조나 스타일에 익숙해지는 연습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였고, 저도 이와 더불어 필사까지 꼭 진행하였습니다. 필사에 대해서는 사람들마다 의견이 다르지만 저는 원고지에 모범답안을 써보면서 답안 분량, 문장 스타일, 핵심 키워드들을 익히는 데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해서 과외생들한테도 꼭 숙제로 내주고 있습니다.
저의 경우에는 지원하는 대학뿐만 아니라 여러 대학 문제들을 풀어보면서 기본 유형들에 익숙해지려고 하였고, 원서접수 이후에는 지원한 대학 위주로 기출 3개년을 반복적으로 풀었습니다.
마지막으로 최저를 열심히 챙기자!!!
인문논술은 최저가 있다면 실질경쟁률은 생각보다 그리 높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최저가 2합 4(사탐 1과목 반영)인 한국외대 2024학년도 논술 전형 결과를 예시로 보면, 실질 경쟁률은 반토막 나거나 혹은 1/3 정도 된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논술 전형에 합격하여 크리스마스 이전에 입시가 끝난다면 정말정말 좋겠지만, 만약 논술에 불합격하여 정시 전형까지 고려해야 할 때를 대비하여 최저는 정말정말 열심히 공부합시다. 지금 안 푼 문제는 내년에 업보로 돌아온다고 생각하고 지금 한 문제라도 더 공부합시다!!! 9월 모의고사도 끝났고 이번 주 수시 접수가 끝나면 정말 시험까지 얼마 안 남은 기분이 들 텐데 수험생 여러분들 모두 파이팅입니다(ノ´ヮ`) ノ*: ・゚